오늘은 내용이 조금 어렵지만, 찬찬히 읽어보시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한 내용입니다.
아동의 발달 영역 중에는
자아 통제 영역이 있습니다.
자아 통제란 스스로 말이나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유아의 행동은 대부분 부모와
같은 다른 사람에 의해 거의 완전히
통제되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면서
자아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규준을 배워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발달합니다.
이러한 자아 통제는 학습에서
자제력의 형태로 꼭 필요하며,
앞선 학습 습관의 하위영역이었던
주의집중 행동과 자율학습 행동
모두 자아 통제력이 선행되어야
하는 영역입니다.
즉, 자아 통제 행동의 결과가 긍정적인 정서를
작용하여 인지적인 각인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인지행동 접근으로
향상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 접근법이란?
초기 개발된 목적은 우울증의 치료법으로
개발되었지만,
인지행동 접근으로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인지행동 접근으로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지고
실제적인 임상경험을 통해 더욱 정교해지면서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장되었습니다.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장되었습니다.
현재, 인지행동 접근법은 우울증뿐만 아니라
사회공포증, 강박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과 같은
정신, 신체, 만성적인 대인관계 및 부부갈등
정신, 신체, 만성적인 대인관계 및 부부갈등
해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아이유비타민 김동철박사 칼럼
'김동철 아동육아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팟캐스트] - 아이 정서와 지능 발달이 고민이라면 (2) | 2023.06.08 |
---|---|
(영상) 우리 아이는 무기력일까? 우울증일까? (2) | 2023.06.05 |
(영상) 눈을 깜빡이고, 킁킁 소리내는 아이, 틱일까요? (4) | 2023.05.31 |
주의력과 집중력, 쉽게 구분하는법 (6) | 2023.05.30 |
(영상) 자꾸 왜라고 묻는 아이,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걸까? (6) | 2023.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