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방법38 다양한 틱 증상을 알아야 대처가 가능합니다. 틱은 6~8세에 가장 흔하게 발병하며, 틱 환자의 96%가 11세 이전에 발병일 만큼, 연령적 시기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또한 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지속적인 개입 선행으로 증상 완하를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틱은 단순 틱과 복합 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근육 틱과 음성 틱으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단순 근육 틱 한 개 혹은 소수의 근육 군이 관여하는 것으로 간대성(clonic)과 긴장성(tonic)으로 나눌 수 있습니 다. 간대성 틱은 급격하고 짧은 기간에 일어나는 운동이고, 긴장성 틱은 지속적인 근육 수축에 따라 팔을 접었다 펴는 등 일정 근육에 힘을 주는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긴장성 틱은 뚜렛 장애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안구 운동 이상이나 사경(torticollis : 머리가 환 측이나.. 2023. 7. 26. 증상이 있어도 발견이 힘든 틱 - 증상의 원인 틱은 뇌의 신경전달 체계의 이상, 유전적 요인, 출산 과정 중 뇌 손상 및 세균 감염과 관련된 면역 반응 이상 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밖에도 학습이나 심리적 요인 등이 틱 증상의 발생 및 악화 관련 요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이 틱 증상을 오해하여 아이에게 창피 를 주거나 벌을 주어 증상을 제지하고자 했을 시, 오히려 정서적인 불안을 초래해 틱 증상의 악화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렇듯, 심리적인 요인이나 잘못된 양육 방법은 틱 증상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이지만, 절대 적인 유발요인은 아닙니다 김동철박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 https://www.youtube.com/@iqvitamin 김동철박사의 팟캐스트 공식 채널 https://apple.co/3OZ.. 2023. 7. 19. 정서불안이라고 하면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 일까요? 정서불안은 사소한 자극에도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불안한 상태에 빠지기 쉬운 경향성을 의미합니다. 정서불안 상태의 아이는 순식간에 안정성을 잃어 폭발적인 분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집중력 저하, 배설 실수 와 같은 문제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유·아동기는 신체 및 인지 영역의 미성숙에 따라 정서불안이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로 즉각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큐비타민 동화 컬럼 매주 4회 이상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이웃 추가하시면 육아, 발달, 정서, 교육. 심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김동철박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 https://www.youtube.com/@iqvitamin 김동철박사의 팟캐스트 공식 채널 https://apple.co/3OZHCr3 비타민 웰빙 솔루션 동화.. 2023. 7. 11. 소아 자해 - 자신을 때리고 아프게 하는 행동을 한다면... 아이는 성인과 달리 자기감정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 몸을 아프게 만드는 '자해' 행동을 보일 때가 있습니 다. 특히, 소아자해는 스스로 자기 신체를 아프게 만들어 불만족스러운 감정을 신체 손상으로 표출하는 것 입니다. 이러한 자해 행동은 만 1세부터 시작되어 3~4세에 가장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흔히 아이의 자해는 머리를 박거나 손톱을 물어뜯기, 머리카락 뽑기 등의 행동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이런 행동을 모두 자해로 해석하지는 않으며, 보통 신경질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이 많은 아이에게 많이 나타나는 행위로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거나 화가 나면 스스로 분을 이기지 못해 자신을 학대하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행동 유형을 자해 행동으로 판단합니다. 김동철박사 육아 칼럼 - 엄마맘 백과사전 수록 내용.. 2023. 7. 6.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