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과사전2

다양한 틱 증상을 알아야 대처가 가능합니다. 틱은 6~8세에 가장 흔하게 발병하며, 틱 환자의 96%가 11세 이전에 발병일 만큼, 연령적 시기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또한 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지속적인 개입 선행으로 증상 완하를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틱은 단순 틱과 복합 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근육 틱과 음성 틱으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단순 근육 틱 한 개 혹은 소수의 근육 군이 관여하는 것으로 간대성(clonic)과 긴장성(tonic)으로 나눌 수 있습니 다. 간대성 틱은 급격하고 짧은 기간에 일어나는 운동이고, 긴장성 틱은 지속적인 근육 수축에 따라 팔을 접었다 펴는 등 일정 근육에 힘을 주는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긴장성 틱은 뚜렛 장애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안구 운동 이상이나 사경(torticollis : 머리가 환 측이나.. 2023. 7. 26.
글을 못 읽고, 못 쓰는 아이, 혹시 난독증일까? 기본적인 읽기나 쓰기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인 난독증은 그리스어 δυσ- dys‘(결함이 있는’)와 lexi‘s(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난독증은 신경학적인 원인으로, 기본적인 읽기나 쓰기(맞춤법을 고려한 철자 쓰기) 발달에서 두드러진 결함을 일으키는 특정 학습장애입니다. 따라서, 책이나 문제집과 같이 인쇄된 단어에 대한 발음(해독)과 철자에 맞게 쓰기(부호화)에 영향을 미쳐 학습의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Vellutino & Fletcher, 2007). 이러한 난독증은 읽기 이해나 쓰기 표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증상과 헷갈릴 수 있으나, 명백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인지의 어려움, 빈약한 철자법, 해독 능력의 문제가 분명하게 드러 나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읽기 이해에서 문.. 2023.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