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는 잘 먹고, 자고, 싸고,

유아기 수면 시간에 대한 연구
깨어있을때는 함박 웃음을
지어주면 최고의 귀염둥이가 되지요.
그리고, 최고의 중요한 것은 먹고 자는 것인데,
오늘은 수면애 대하여 이야기 하겠습니다.
수면의 질과 양이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나머지 생활에 문제가 없는
기초를 이루는 근간이 됩니다.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에너지와 건강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생리 과정입니다.
미국 수면 재단은
아동의 나이에 따라
권장 수면시간을 권고하였는데,
그 기준은
신생아 14~17시간,
영아 (4~11개월) 12~15시 간,
영아 (1~2세) 11~14시간,
유아(3~5세) 10~13시간 입니다.

세계적인 기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유·아동은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같은 아시아 지역과 비교했을
때도 훨씬 짧은 수준입니다
(Ahn, Williamson, Seo, Sadeh, & Mindell, 2016).
이러한 수면시간의 부족은
신체 발달과 성장 뿐만 아니라
사회, 정서 및 인지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며, 인지적 수행력 저하,
과잉 행동과 충동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낮은 정서 지능, 자아 존중감 저하,
독립성의 부족, 스트레스 대처
능력 형성의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일정 기준치의 수면시 간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합니다.
김동철박사 육아 칼럼 - 엄마맘 백과사전 수록 내용 중에
매주 4회 이상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자주 방문하시면
육아, 발달, 정서, 교육. 심리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을 합니다.
매주 4회 이상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자주 방문하시면
육아, 발달, 정서, 교육. 심리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을 합니다.

김동철박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
김동철박사의 팟캐스트 공식 채널
비타민 웰빙 솔루션 동화 구입처
'육아 웰빙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공포 2) 아이들이 악몽을 꾸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 | 2023.06.28 |
---|---|
(팟캐스트) 잘 먹지 않은 아이는 섭식장애가 있는 걸까요? 명쾌하게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1) | 2023.06.28 |
어둠 공포증을 극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1) | 2023.06.27 |
(영상) 잘 먹지 않은 아이는 섭식장애가 있는 걸까요? 명쾌하게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1) | 2023.06.26 |
유아기 공포를 많이 느끼는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2) | 2023.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