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에 어려움을 겪을 시,
수면의 질 또한 떨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수면공포는 대부분 악몽의
형태를 빌려 나타나게 됩니다.
악몽은 무서운 꿈을 의미하며,
아동은 꿈의 내용을 정서적 경험으로
기억함에 따라 불안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악몽은 수면 후반부의 REM
수면 상태가 가장 길고 강렬한
시기에 잘 나타 나며,
REM 수면에서 갑자기
깨어나게 합니다.

악몽 후에 잠에서 완전히 깬 아이는
잠시 감정의 변화만 보이며
쉽게 현실을 인지하지만,
다시 잠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때 모든 아동이 한 번쯤
악몽을 경험한다고 해서
야경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야경증과는 분명한 감별이 필요하며,
야경증은 수면 중에 강한 발성과
동작을 동반하여 벌떡 일어난 뒤,
공황 상태를 보이는 증상입니다.
자신이 보였던 증상적 행동에 대해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어
악몽으로 인한 수면공포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야경증을 제외하더라도
악몽이 잦고 나쁜 꿈을 꾸는
시간이 길수록 일상생활 중
나타나는 행동이나 성취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리적으로 내재한 문제가
없는지를 고려하여야 하며,
치료는 악몽에 대처하는 교육과
잠에서 깬 후 아이가 스스로
안심하는 방법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돕고, 적절한 수면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식단과 활기찬 운동으로
에너지를 적절하게 소진하여
깊은 잠을 자게 하는 것도
내적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자연스럽게 소거시키는
적절한 조치가 될 수 있습니다.
김동철박사의 솔루션동화 - 아이맘 백과사전 수록 내용 중에
매주 4회 이상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자주 방문하시면
육아, 발달, 정서, 교육. 심리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을 합니다.
김동철박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
https://www.youtube.com/@iqvitamin
김동철박사의 팟캐스트 공식 채널
비타민 웰빙 솔루션 동화 구입처

'육아 웰빙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모든 것을 울음으로만 해결하려는 아이 - 명확히 해결하는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2) | 2023.06.29 |
---|---|
(수면공포 3)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1/3 (4) | 2023.06.29 |
(팟캐스트) 잘 먹지 않은 아이는 섭식장애가 있는 걸까요? 명쾌하게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1) | 2023.06.28 |
(수면공포 1 ) 유아기 수면의 중요성 (1) | 2023.06.27 |
어둠 공포증을 극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1) | 2023.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