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박사커럼2

인지행동 접근법을 활용한 긍정적인 학습 습관 만들기 오늘은 내용이 조금 어렵지만, 찬찬히 읽어보시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한 내용입니다. 아동의 발달 영역 중에는 자아 통제 영역이 있습니다. 자아 통제란 스스로 말이나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유아의 행동은 대부분 부모와 같은 다른 사람에 의해 거의 완전히 통제되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면서 자아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규준을 배워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발달합니다. 이러한 자아 통제는 학습에서 자제력의 형태로 꼭 필요하며, 앞선 학습 습관의 하위영역이었던 주의집중 행동과 자율학습 행동 모두 자아 통제력이 선행되어야 하는 영역입니다. 즉, 자아 통제 행동의 결과가 긍정적인 정서를 작용하여 인지적인 각인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인지행동 접근으로 향상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 접근법이란? 초기 개발된 목.. 2023. 6. 1.
유아기 편식 습관과 해결에 대한 고찰... 오늘은 식습관에 대한 마지막 이야기가 될 듯 합니다. 같은 얘기만 지속하면 식상할거 같아서요. 오늘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접근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교육과 양육이라는 것은 끈질김과 인내를 요구 합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엄마를 응원합니다. 식습관이 잘 잡혀야, 균형잡인 성장의 기초가 형성이 됩니다. (아주 중요) 이것만 잘해도 잔병치례, 성장 등의 기본적인 해결의 시작이 입니다. 편식은 특정한 음식을 과도하게 기피하고, 먹지 않는 부정적인 식습관 중 하나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보일 시, 일방적으로 먹이려고 하는 것은 편식을 심화시키는 행위가 되므로, 단계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과하게 피하는 음식은 치워버리는 것도 점진적인 교정의 방법이므로 상황에 따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2023.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