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박사33 잠시도 가만히 있는 못하는 아이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우리 아이.. 주의가 산만한 아이 주의가 너무나 산만한 우리 아이.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해요.. 다른 아이에 비해 아이가 너무 산만합니다... 학교에서 공부를 할 때도, 집에서 놀 때도 부산하고 산만한 모습을 보이며 이리저리 자꾸 돌아다니는 모습, 혹시 우리 아이도 ADHD를 앓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제는 대중들에게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ADHD.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ADHD 단어를 아는 것에 비해 자세한 증상을 몰라 아이가 ADHD를 겪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정확한 명칭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입니다. 이는 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과 같은 몇.. 2023. 2. 13. 우리 아이마음 공감해주기 우리 아이마음 공감해주기 아이와 감정 교감하기 아이들이 싸우고 화해하는 과정은 제3자인 누군가가 해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부딪혀야 하는데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은 '감정에 대한 공감'에서 시작한다고 합니다. 부모로서 아이가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으면 속상한 마음에 아이를 다그치곤 하는데요. 그렇다 하더라도 우선 놀림을 받아 울고 있는 우리 아이의 마음에 대해서’’ 공감하고 위로해주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 아이는 '우리 엄마, 아빠는 내 편이야!'라는 마음 속 지지대를 세우고 위축 되었던 마음이 풀리게 되는 것이죠. 그 후에 아이에게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 물어보고 아이의 눈높이에서 놀림을 받은 것이 아이 혼자만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와 비슷한 .. 2023. 2. 12. 조금만 놀려도 우는 아이 조금만 놀려도 우는 아이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놀다가도 아이들끼리 모여있다 보면, 크고 작은 문제로 쉽게 다투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부모님들이 보기에 아주 사소한 별것 아닌 일로 다투곤 하는데요. 우리 아이들은 모든 상황이나 환경이 처음이고 기질 성향에 따라 간혹 사소한 것에도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친구들이 조금만 놀려도 삐지거나 화를 내는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이러한 서툰 감정표현은 또래 사회에서 대인관계 문제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이가 사소한 일에도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칭찬으로 우리아이 기살리기 자존감은 대인관계에서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요. 자존감이 낮고 열등감이 높을 수록 타인의 말과 행동에 쉽게 영향을 받.. 2023. 2. 12. 내 아이 자신감 키우는 방법 내 아이 자신감 키우는 방법 자신감 넘치는 아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아이 건강하고 긍정적인 아이 1)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부모의 입장에서 사소한 행동으로 보여도 그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칭찬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혼자서 단추도 채울 줄 알고, 대단한데?"와 같은 구체적으로 아이가 한 행동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스스로 해냈다는 자긍심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2) 도움 요청 알려주기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신이 겪은 어려운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 하는데요. 도움을 청하는 것이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열등해서가 아님을 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 아이에게 스스로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도움을 청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방법 중 하나임을 알려준다면, 적극적으로 다.. 2023. 2. 12.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