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심리케어6 맞벌이 부모의 아이 걱정 (2편) 아침부터 아이의 우는 모습을 보며 출근을 서두르는 워킹맘! 엄마의 출근 준비 모습을 보며 더욱 칭얼대는 아이! 출근 준비를 다하고도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 1편에서 계속 됩니다. 맞벌이라 아이와 놀아주는 것이 힘들다면 일주일에 몇번, 일주일에 하루 정도 온전히 아이와 놀아주는 날로 정해 그 날에 최선을 다하면 됩니다. 직장에 다니는 엄마라 아이에게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강박을 버리고 혼자만의 즐길 시간과 아이에게 애정을 쏟는 시간을 분리해 지내다보면 아이들과의 관계가 좋아진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모가 꼭 해야할 일※ 1) 일주일에 한번 시간정해 놀아주기 앞서 말했듯이 아이와 놀아주는 것이 힘들다면 일주일에 하루를 정해 그날 만큼은 최선을 다해 놀아줍니다. 아이들이 학교나 학원에.. 2023. 2. 14. ADHD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접근... 2편에서 계속....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의 원인은 ADHD의 원인은 유전적, 신경학적,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있으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유전적인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후천적으로 성장환경이 공격적 이거나 불규칙적인 가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는 등 아이가 불안정한 환경에서 자라게 되었을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이 어렵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ADHD는 선천적 성향 기질적 영향과 후천적 양육 환경에 의한 영향 등으로 진단 역시 정확하게 내리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다양한 심리검사와 상담을 통해 혹 다른 심리적 문제로 인해 ADHD와 비슷한 향상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어떤 행동적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 등 세밀하게 관찰.. 2023. 2. 13. 잠시도 가만히 있는 못하는 아이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우리 아이.. 주의가 산만한 아이 주의가 너무나 산만한 우리 아이.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해요.. 다른 아이에 비해 아이가 너무 산만합니다... 학교에서 공부를 할 때도, 집에서 놀 때도 부산하고 산만한 모습을 보이며 이리저리 자꾸 돌아다니는 모습, 혹시 우리 아이도 ADHD를 앓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제는 대중들에게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ADHD.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ADHD 단어를 아는 것에 비해 자세한 증상을 몰라 아이가 ADHD를 겪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정확한 명칭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입니다. 이는 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과 같은 몇.. 2023. 2. 13. 내 아이 자신감 키우는 방법 내 아이 자신감 키우는 방법 자신감 넘치는 아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아이 건강하고 긍정적인 아이 1)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부모의 입장에서 사소한 행동으로 보여도 그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칭찬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혼자서 단추도 채울 줄 알고, 대단한데?"와 같은 구체적으로 아이가 한 행동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스스로 해냈다는 자긍심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2) 도움 요청 알려주기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신이 겪은 어려운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 하는데요. 도움을 청하는 것이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열등해서가 아님을 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 아이에게 스스로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도움을 청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방법 중 하나임을 알려준다면, 적극적으로 다.. 2023. 2.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