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식습관에 대한 마지막 이야기가 될 듯 합니다.
같은 얘기만 지속하면 식상할거 같아서요.
오늘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접근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교육과 양육이라는 것은 끈질김과 인내를 요구 합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엄마를 응원합니다.
식습관이 잘 잡혀야, 균형잡인 성장의 기초가 형성이 됩니다. (아주 중요)
이것만 잘해도 잔병치례, 성장 등의 기본적인 해결의 시작이 입니다.
편식은 특정한 음식을 과도하게 기피하고,
먹지 않는 부정적인 식습관 중 하나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보일 시, 일방적으로 먹이려고
하는 것은 편식을 심화시키는 행위가 되므로,
단계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과하게 피하는 음식은 치워버리는 것도
점진적인 교정의 방법이므로 상황에 따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피하던 음식을 우연히라도 먹게 되면,
적절한 시점에 칭찬하여 보상하는 것이 중요하며,
요리 과정에 참여시켜 흥미를 유발하는 방법 등
적절한 양과 시간을 조절해가며
끈기 있게 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익숙하게 받아들이기까지는
8~10회 정도 지속적이고 반복적 으로 접근해야만
새로운 음식에 대한 수용이 가능해집니다.
나이 성장별 식습관의 변화 과정 설명에 대한 도표

김동철박사 양육칼럼
'김동철 아동육아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력과 집중력, 쉽게 구분하는법 (6) | 2023.05.30 |
---|---|
(영상) 자꾸 왜라고 묻는 아이,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걸까? (6) | 2023.05.26 |
우리아이 식습관을 위하여 - Eating habit 식습관 (6) | 2023.05.15 |
우리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4) | 2023.05.15 |
“싫어”라고 하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4) | 2023.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