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은 식생활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습관 및 개인이 갖는 태도입니다.
여기에는 음식의 선호,
음식을 대하는 태도,
음식과 관계되는 위생 습관,
식사 예절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식습관은 의식적으 로 드러나는 것이 아닌,
식사 과정에서 습득한 식생활 행동 체계에 의해
자동으로 반복되며, 아이의 영양 섭취 수준과
건강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변덕스러운 유아기의 식습관
유아기는 자아의식이 급격하게 발달하는 시기로,
음식에 대한 선호도 또한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때는 일시적인 특성에 따라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자주 바뀌곤 하는데,
조경자, 이현숙(2004 논문)의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상황에
따라 음식물에 대한 맛과 식감을
느끼는 신체적 반응이 달라지거나 증진되고,
자신이 느낀 감상을 표현했을시
주변 친구나 양육자, 교사의 피드백이
아이의 음식 변덕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습니다.
건강한 식습관 형성 방법
유아기는 특정 음식에 대한 기호가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아,
상황에 따라 음식이 매력적으로 보일 시
먹지 않던 것도 쉽게 섭취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에 따라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보다는
적당한 저온의 음식을 좋아하게 되고,
너무 맵고 짜거나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은 크게 선호하지 않게 됩니다.
아직 치아가 튼튼하지 않아 과하게 마르거나
딱딱한 음식 또한 아이에게 적당하지 않기에
양육자의 선별이 필요합니다.
이 시기 아이는 씹기 쉽고 당질이 풍부한 시리얼이나
부드러운 빵 등을 더 선호하고, 씹기 어려운 고기를
거부하는 모습이 종종 발견됩니다.
이러한 아이의 표면적인 선호도에 의존한 식사를 할 경우,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식품에 대한 다양한 조리 방법을 살펴
골고루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평소 선호하는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물을 혼합하여 조리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가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게 하고,
좋아하는 음식 또한 날마다 달라지는 특성을
적절히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외에도, 연령별 식습관 행동 발달을 살펴
어릴수록 영양소가 골고루 균형 잡힌 식단에
자주 노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김동철 아동육아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자꾸 왜라고 묻는 아이,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걸까? (6) | 2023.05.26 |
---|---|
유아기 편식 습관과 해결에 대한 고찰... (14) | 2023.05.16 |
우리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4) | 2023.05.15 |
“싫어”라고 하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4) | 2023.05.10 |
밀당 대화 하는 4가지 방법 (4) | 2023.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