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박사동화36

아이의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는 양육자의 또래 비교 양육자의 또래 비교가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이유는 아이의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또래 비교를 많이 겪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눈에 띄게 감소함을 의미하며, 타인보다 못 한 점에만 주목하게 되어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게 되고, 모든 자존감 영역(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또래 비교 시 대부분 양육자가 아이에게 비판이나 비난의 내용으로 비교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과정에서 아이는 자신에 대해 전반 적으로 낮은 평가를 하거나, 가족 구성원으로서 불필요한 존재라고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자아존중감을 지키고, 부정 정서를 유발하지 않도록 또래 비교에 대한 언행에 유의해야 합니다. .. 2023. 3. 11.
엄마 친구 아들은... - 다른 집 아이와의 비교 또래 비교는 양육자가 아이의 자발성 여부와 관계없이 능력과 의견 등을 평가하거나 아이의 노력을 촉구 하고자 하는 등의 다양한 의도로 또래와 비교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그중에서도 아이와 학교생활을 함께 공유하고 경쟁하는 위치의 또래와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한덕웅, 장은영, 2004). 비교의 개념 Frestinger(1954)는 비교행위의 개념을 자신의 의견과 능력을 평가하고자 타인을 평가 기준으로 잡고 자신과 비교하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즉, 자신의 의견과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심리는 일반적이며, 객관 적인 평가 기준이 없을 때 특히나 타인을 평가 기준으로 삼아 자신과 비교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또한, 스스로 자기 행동이나 수행이 적절한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자신과 비교하는 것을 비교로 정의할.. 2023. 3. 11.
양육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 스트레스 어린 아이를 키우다 보면 스트레스가 자연스레 나타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트레스는 ‘팽팽하게 죄다’라는 뜻의 라틴어 ‘stringer’에서 유래되었으며(Ivancevich & Mattesonn, 1980), ‘가족 구성원이 가족 체계 내에서 가족의 변화 과정에 따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되는 압박이나 긴장 상태’를 가족 스트레스라고 합니다(Olson & Defrain, 2010). 이는 가족의 발달과업과 가족 능력 간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그 결과 불안정한 가족 상태가 됩니다. 가족 스트레스는 왜 발생하나요? 가족 스트레스는 대부분 가족의 변화에 따른 일상생활 속 생활 사건에서 발생합니다. 자녀의 성장, 부모의 사회·경제적 위치 변동과 같이, 이러한 변화는 가족 발달 .. 2023. 3. 11.
자녀를 나의 로봇이 아닌 올바른 양육관을 가지려면... 앞 글에 이어서 적습니다 자녀를 부모가 원하는대로 성장시키기 자녀는 나의 로봇이 되어 철저히 하라는대로 성장하고 상황 자녀 양육관이란? 자녀 양육관과 그에 대한 성공은 아이 교육을 시작하며 더욱 확대되고, 그 영향력도 커집니다. 그만큼 교육은 양육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그로 인해 가장 많은 갈등이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Stabenau(1973)는 부모의 자녀교육관에 따라 아이에게 기대하는 바가 확연히 달라진다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 자녀교육관은 부모가 아이를 ‘어떤 형의 사람으로 키우고 싶은가?’에 대한 교육적 관점이며, 견해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박준희(1975)는 자녀교육관에 대하여 부모가 자녀에게 “나는 네가 이런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라는 부모의 목표 지향성을 포함한 자녀의 행동 .. 2023.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