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솔루션동화50

정서불안이라고 하면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 일까요? 정서불안은 사소한 자극에도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불안한 상태에 빠지기 쉬운 경향성을 의미합니다. 정서불안 상태의 아이는 순식간에 안정성을 잃어 폭발적인 분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집중력 저하, 배설 실수 와 같은 문제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유·아동기는 신체 및 인지 영역의 미성숙에 따라 정서불안이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로 즉각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큐비타민 동화 컬럼 매주 4회 이상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이웃 추가하시면 육아, 발달, 정서, 교육. 심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김동철박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 https://www.youtube.com/@iqvitamin 김동철박사의 팟캐스트 공식 채널 https://apple.co/3OZHCr3 비타민 웰빙 솔루션 동화.. 2023. 7. 11.
소아 자해 - 자신을 때리고 아프게 하는 행동을 한다면... 아이는 성인과 달리 자기감정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 몸을 아프게 만드는 '자해' 행동을 보일 때가 있습니 다. 특히, 소아자해는 스스로 자기 신체를 아프게 만들어 불만족스러운 감정을 신체 손상으로 표출하는 것 입니다. 이러한 자해 행동은 만 1세부터 시작되어 3~4세에 가장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흔히 아이의 자해는 머리를 박거나 손톱을 물어뜯기, 머리카락 뽑기 등의 행동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이런 행동을 모두 자해로 해석하지는 않으며, 보통 신경질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이 많은 아이에게 많이 나타나는 행위로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거나 화가 나면 스스로 분을 이기지 못해 자신을 학대하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행동 유형을 자해 행동으로 판단합니다. 김동철박사 육아 칼럼 - 엄마맘 백과사전 수록 내용.. 2023. 7. 6.
(수면공포 5)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3/3 - 마지막)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3. 마지막 변인은 생활시간입니다.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정수정, 2017), 일상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활동은 무엇이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중, 육아 지원기관 이용 시간, 기관에서의 낮잠 시간, 스마트미디어 사용 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육아 지원기관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유아는 등원 시간은 빠르고, 하원 시간은 늦어 건강한 수면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관련 연구에서는 육아 지원기관에서 장시간을 보낸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신체적 피로감을 자주 보였다고 보고합니다 (김혜진, 2013; 양은혜, 2012). 이와 더불어 수면과 관련하여.. 2023. 7. 5.
(수면공포 4)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2/3) 아이의 수면의 영향을 미치는 원인 2번째 시간입니다. 수면 방해 원인은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변인은 가족 특성입니다. 여기에는 양육 태도, 양육자의 심리상태, 가족 구조, 엄마의 사회활동 여부 등이 포함됩니다 (김지윤 외, 2018).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에 따라 유아동의 주중 생활 리듬이 늦춰지고 있고, 그와 동일 선상에서 엄마의 사회활동 여부는 아이의 수면시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아가 가장 큰 애착을 보이는 양육 대상이 엄마(주 양육자)이기에, 주 양육자의 귀가 시간이 늦을수록 아이의 수면시간도 늦어지는 나비효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 만, 모든 아이가 엄마의 사회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며, 아이의 수면을 위해 엄마가.. 2023.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