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독립6

언어사용 습관 형성의 핵심, 말하기 말하기는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 수단입니다. 특히, 아이들은 자기중심적인 사고 발달로 인해, 타인의 말을 듣는 행위보다는 말하는 행위에 더욱 즐거움을 느낍니다. 따라서, 말하기를 통한 언어사용 습관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말하기는 습관 형성 행위의 핵심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말하기는 두 가지 지적 활동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첫째, 계획하기, 둘째, 계획한 내용을 음성 언어로 표현하기 입니다(이차숙. 노명환, 1994). 계획하기는 아이디어의 생성이며, 표현하기는 이 아이디어를 행하기 위해 음절, 단어, 문장, 구절 등의 발화적인 표출입니다. 유아는 기존에 인지하고 있는 내용과 수준을 기반 으로 표현하기를 시행하며, 이때, 실수가 있더라도 스스로 터득하며 언어 기술 수준을 향상합니다. 따라서 .. 2023. 5. 12.
우리 아이 - 언어사용 습관 언어사용 습관 Language usage habits 언어사용 습관은 문자를 활용해 표현하는 모든 언어표현에서 나타나는 반복적인 단어, 어투 등을 의히합니다. 최근에는 미디어 매체의 발달로 유행어에 노출되는 나이가 낮아짐에 따라, 아이의 올바른 언어습관 형성에 대한 양육자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자기표현의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자기표현을 통해서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하고 싶어 합니다(Lowenfeld, 1975). 하지만, 유아기에는 자신의 감정이나 심상을 표현하기에 언어능력의 한계를 갖고 있어 모델링 학습으로 발달하게 되며, 부정적인 언어사용 습관이 고착될 시, 전반적인 언어습관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언어사용 습관의 발달 과정 4세가 되면, 아이들은 일상.. 2023.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