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비아8 (수면공포 5)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3/3 - 마지막)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3. 마지막 변인은 생활시간입니다.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정수정, 2017), 일상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활동은 무엇이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중, 육아 지원기관 이용 시간, 기관에서의 낮잠 시간, 스마트미디어 사용 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육아 지원기관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유아는 등원 시간은 빠르고, 하원 시간은 늦어 건강한 수면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관련 연구에서는 육아 지원기관에서 장시간을 보낸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신체적 피로감을 자주 보였다고 보고합니다 (김혜진, 2013; 양은혜, 2012). 이와 더불어 수면과 관련하여.. 2023. 7. 5. (수면공포 3)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1/3 수면(악몽)공포는 양육자가 없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심,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잦은 악몽으로 잠에서 자주 깨거나 다시 쉽게 잠들지 못하여 충분한 수면시간을 취하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유·아동이 잠을 자다가 깨는 이유와 원인은 다양하지만, 신체 에너지의 저하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대부분 수면 (악몽)공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은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블로그 내용이 길어져서 하루에 한가지씩 원인 3가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첫번째, 개인적 특성 아이의 수면을 어렵게 하는 변인에 대하여 학자들은 총 3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첫째, 나이와 기질의 영향과 같은 개인적 특성입니다. 기질은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내적 특성으로, 행동 및 정서적 영역에서 드러나 삶의 전반적인 적.. 2023. 6. 29. (수면공포 2) 아이들이 악몽을 꾸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수면에 어려움을 겪을 시, 수면의 질 또한 떨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수면공포는 대부분 악몽의 형태를 빌려 나타나게 됩니다. 악몽은 무서운 꿈을 의미하며, 아동은 꿈의 내용을 정서적 경험으로 기억함에 따라 불안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악몽은 수면 후반부의 REM 수면 상태가 가장 길고 강렬한 시기에 잘 나타 나며, REM 수면에서 갑자기 깨어나게 합니다. 악몽 후에 잠에서 완전히 깬 아이는 잠시 감정의 변화만 보이며 쉽게 현실을 인지하지만, 다시 잠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때 모든 아동이 한 번쯤 악몽을 경험한다고 해서 야경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야경증과는 분명한 감별이 필요하며, 야경증은 수면 중에 강한 발성과 동작을 동반하여 벌떡 일어난 뒤, 공.. 2023. 6. 28. 유아기 공포를 많이 느끼는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유아기의 공포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다음과 같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김규수, 안연경(2006년 논문 발표) 4세 유아 245명을 대상으로 공포 수준을 연구한 결과, 동물 다음으로 상상에 대한 공포가 큰 것을 밝혔습니다. 상상은 어두운 곳, 귀신, 도깨비, 무서운 꿈 등으로, 유아들은 비현실적인 상상에서 큰 공포를 느끼게 됩니다. 이는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풍부한 상상력 발현의 발달단계에 따라 비현실적 공포를 크게 느끼는 경향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둠은 파격적인 상상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모 든 아이가 한번쯤 공포를 호소하는 유발 요인입니다. 어둠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공포심을 느끼고, 그에 대한 정서·행동이 나타나는 ‘어둠 공포증’은 일반적으로 어둠에 대해 공포감을 느.. 2023. 6.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