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 아동육아심리48

주의력과 집중력, 쉽게 구분하는법 주의력과 집중력, 무엇이 다른가요? 2개가 비슷한 뜻을 담고 있지만, 육아에 적용 할때는, 두가지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어렵지만, 쉬운 방법을 설명합니다. ’주의력‘은 오감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처리하는 초기 단계에서 특정 정보만을 선택해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며, ’집중력‘은 주의력을 활용해 선택한 정보를 장기기억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능력입니다 (이재규 외, 2013 논문자료집). 한가지 더, 이것을 주의력과 집중력을 한단어로 표시하면, 주의집중력이라고 합니다. 이것의 뜻은, 일정 시간 동안 방해되는 자극을 통제하고, 과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유지하는 능력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 어떤 정보나 상황을 선택하여 집중할 때는 불필요한 것들에 대해 무시하는 인지 과정입니다. 계.. 2023. 5. 30.
(영상) 자꾸 왜라고 묻는 아이,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걸까? 요즘 부모님들 하고 상담을 많이 하다 보면, 발달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고민을 상당히 많이 하고 계시는데, 제가 느낄 때 우리 아이들 문제없는 아이 많고, 그런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실 발달과정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는 아닙니다. 발달과정에서 성장속도가 빠른 아이도 있고, 느린 아이도 있습니다. 마냥 느리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님들의 못 가다려 주는 마음이 더 강한 상황이 많습니다. 사실, 그렇게 많은 걱정하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오늘 제가 이야기를 들은 부분들은 뭐냐면 아이들은 커 가는 과정에서 질문을 많이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특히 아동 발달 과정에서 만 3-세 정도면 아이들이 문장을 만들어내는 호기심도 상당히 많고 그리고 또 문장을 이어 나가는 과정을 배움으로 인해서 호.. 2023. 5. 26.
유아기 편식 습관과 해결에 대한 고찰... 오늘은 식습관에 대한 마지막 이야기가 될 듯 합니다. 같은 얘기만 지속하면 식상할거 같아서요. 오늘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접근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교육과 양육이라는 것은 끈질김과 인내를 요구 합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엄마를 응원합니다. 식습관이 잘 잡혀야, 균형잡인 성장의 기초가 형성이 됩니다. (아주 중요) 이것만 잘해도 잔병치례, 성장 등의 기본적인 해결의 시작이 입니다. 편식은 특정한 음식을 과도하게 기피하고, 먹지 않는 부정적인 식습관 중 하나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보일 시, 일방적으로 먹이려고 하는 것은 편식을 심화시키는 행위가 되므로, 단계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과하게 피하는 음식은 치워버리는 것도 점진적인 교정의 방법이므로 상황에 따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2023. 5. 16.
우리아이 식습관을 위하여 - Eating habit 식습관 식습관은 식생활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습관 및 개인이 갖는 태도입니다. 여기에는 음식의 선호, 음식을 대하는 태도, 음식과 관계되는 위생 습관, 식사 예절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식습관은 의식적으 로 드러나는 것이 아닌, 식사 과정에서 습득한 식생활 행동 체계에 의해 자동으로 반복되며, 아이의 영양 섭취 수준과 건강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변덕스러운 유아기의 식습관 유아기는 자아의식이 급격하게 발달하는 시기로, 음식에 대한 선호도 또한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때는 일시적인 특성에 따라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자주 바뀌곤 하는데, 조경자, 이현숙(2004 논문)의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상황에 따라 음식물에 대한 맛과 식감을 느끼는 신체적 반응이 달라지거나 증진되고, 자신이 느낀.. 202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