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아동육아심리48 제발, 그만좀싸우자 - 사이 좋은 형제자매되기 프로젝트 형제자매들 간에 우애가 돈독했으면 하는데, 우리 아이들은 툭하면 별것도 아닌 일로 그저 싸우기 바쁘죠. 서로 배려하고 양보하면 싸울 일은 그다지 없을 것 같은데 말이죠. 말려도 말려도 매일같이 싸우는 우리 아이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일반적으로 두 돌 정도 된 아이들은 자의식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자기 것에 대한 소유의식이 강해지는데요. 이러한 강한 소유의식이 원동력이 되어 형제들끼리 자주 다투게 되는 것이죠. 뇌 발달 상에서도 두 돌경 아이들은 자기 중심성이 강하기 때문에 아직은 타인에 대해 생각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서로에 대한 배려나 양보에 대한 개념이 아직 생기지 않은 미성숙한 시기라는 것이죠. 따라서 2~5세 경 아이들이 자주 다투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2023. 5. 3. 학습장애는 어떻게 치료할까요? 앞전에 적은 블로그 글에 이어서 나갑니다. 앞의 글은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이전글 링크로 가기 학습장애의 경우 과제 훈련과 더불어 심리치료 및 학습 코칭을 병행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부족한 학습능력을 대신할 수 있는 기술과 다양한 심리적 문제 극복 방법을 알려주는 심리 상담을 병행하는 것이죠. 최대한 쉽고 단순하게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그 수준을 높이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며, 의욕과 자신감을 느낄 수 있도록 즐거운 학습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성향을 고려하여 수준에 맞게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것은, 아이의 자신감을 길러주고 운동능력과 지각능력을 향상하며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 적응 향상 기술을 훈련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인데요. 대부분의 부모님과 선생님.. 2023. 5. 1. 머리는 좋은데 공부는 못하는데, 혹시 학습장애일까요? 학습장애란, ’지적 능력이나 외부적 문제가 없는데도 학습에 곤란을 겪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쉽게 말해, '머리 가 좋은데 공부를 못하는 아이'인 것이죠. 흔히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산수 가운데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매우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래보다 1년 이상 뒤처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영역 중 두 개 이상의 분야에서 장애를 보이는 경우는 '중복 학습장애'로 규정합니다. 학습장애를 경험하는 학생들은 흔히 게으르고 집중하지 못해 학업 성취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여 선생님, 부모, 심지어 학생 자신조차 이러한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또한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이라는 단어는 비슷하면서도 매우 다른 의미를 지닙니다. 두 개념은 정상범위의 지능을 가진.. 2023. 4. 28. 아이의 울음을 뚝 그치게 하는 상황별 대처법! "으앙! 내 맘대로 안 돼요!" 아이가 자기 뜻대로 되지 않으면 울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아이에게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습니다. "OO이가 예쁘게 만들고 싶은데 잘 안 돼서 속상하구나, 그러면 우리 이렇게 해보는 건 어떨까?" - 감정 읽기 와 다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제시해주시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죠. 시범을 먼저 보여주시면서 아이가 직접 보고 반복적으로 따라 해보게 함으로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성취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게 도와주게 되는 것입니다. "으앙! 엄마, 아빠의 관심을 받고 싶어요! " 때때로 아이들은 부모님의 관심을 얻기 위해 울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에는 교감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울 때, 아이를 안아주시면서 눈 맞춤을 하시고 아이의 등을 토닥.. 2023. 4. 27.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