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맘 위로가 필요해(육아.성장.심리)15 매사에 비관적인 아이를 어떻게 하나요 (1편) 노력해서 뭐해? 어차피 안될텐데 꼭 해야 해요? 절대 못할텐데 ... 나는 어차피 안되는데, 노력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 아이가 무심코 하는 말들, 귀 기울여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만약 최근 이런 말들을 자녀에게서 들어본 적이 있다면, 아이가 "비관적인 아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관적인 아이들은 대개 모든 부분에 있어 불만족스러워하고 부정적인 관점으로 모든 것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떤 일을 하든 자신이 무언가를 변화시킬 수 없다는 생각에 실패를 두려워하고, 설사 어떠한 일을 해냈다 하더라도 그저 운이 좋았다며 자신의 능력을 과소 평가하게 됩니다. 이런 비관적인 태도는 냉소주의나 비난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자기능력 이하의 실력을 내거나 우울증으로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아이.. 2023. 2. 20. 맞벌이 부모의 아이 걱정 (3편) 아침부터 아이의 우는 모습을 보며 출근을 서두르는 워킹맘! 엄마의 출근 준비 모습을 보며 더욱 칭얼대는 아이! 출근 준비를 다하고도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 ※맞벌이 부모의 5가지 금지 사항※ 1) 미안해하지 않기 다른 집 아이의 엄마와 비교해 못챙겨준다는 생각으로 아이에게 미안해해선 안됩니다. 미안해 하면 할수록 아이는 엄마의 미안함을 느끼고 위축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 앞에서 커리어우먼처럼 당당하고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야 아이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애정을 돈으로 대신하지 않기 아이를 잘 못챙겨준다는 이유로 돈이나 장난감 등 이것 저것 필요한 것을 해주다보면 소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생기고, 보상, 대가 없이는 움직이지 않는 안 좋은 버릇이 들 수도 있습니다. 3.. 2023. 2. 14. 맞벌이 부모의 아이 걱정 (2편) 아침부터 아이의 우는 모습을 보며 출근을 서두르는 워킹맘! 엄마의 출근 준비 모습을 보며 더욱 칭얼대는 아이! 출근 준비를 다하고도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 1편에서 계속 됩니다. 맞벌이라 아이와 놀아주는 것이 힘들다면 일주일에 몇번, 일주일에 하루 정도 온전히 아이와 놀아주는 날로 정해 그 날에 최선을 다하면 됩니다. 직장에 다니는 엄마라 아이에게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강박을 버리고 혼자만의 즐길 시간과 아이에게 애정을 쏟는 시간을 분리해 지내다보면 아이들과의 관계가 좋아진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모가 꼭 해야할 일※ 1) 일주일에 한번 시간정해 놀아주기 앞서 말했듯이 아이와 놀아주는 것이 힘들다면 일주일에 하루를 정해 그날 만큼은 최선을 다해 놀아줍니다. 아이들이 학교나 학원에.. 2023. 2. 14. 맞벌이 부모의 아이 걱정 (1편) 아침부터 아이의 우는 모습을 보며 출근을 서두르는 워킹맘! 엄마의 출근 준비 모습을 보며 더욱 칭얼대는 아이! 출근 준비를 다하고도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 맞벌이 부모들에게는 일상 아닌 일상인데요. 한창 챙겨줘야 할 시기에 괜스레 아이를 더 못챙겨준 것 같고, 울거나 칭얼대는 모습을 보면 이렇게까지 해서 일을 해야하나 싶고. 진지하게 “일을 그만두어야 하는 걸까”하고 고민을 하게 되죠. 이런 맞벌이 부부, 일을 계속 해야하는게 맞는 걸까요? 가장 큰 문제는 엄마의 불안? 맞벌이를 하는 워킹맘들은 자신이 아이를 잘 챙겨줄수 없다는 불안과 다른 전업 주부들의 육아와 자신의 육아를 비교하며 생기는 자책감으로 일을 하게 됩니다. 일을 하면서도 문득 떠오르는 아이의 모습에 일이 손에 안잡힐 때가 있는데요... 2023. 2.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