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웰빙동화103

(영상) 모든 것을 울음으로만 해결하려는 아이 - 명확히 해결하는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모든 것을 울음으로만 해결하려는 아이 - 해결하는 방법이 명확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엄마 걱정은 아이가 울음으로만 상황을 해결하려는 이유는 언어적인 발달이 덜 되어, 감정표현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몰라서 나오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말로써 표현이 하고 싶은데, 말이 잘 안될 경우 말로써 전달은 되었지만, 전달이 안되는 경우 아이가 우는 것은 감정적 표출, 언어적 표출이 됩니다. 그렇다면, 울음 속에서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더 좋은 교육/양육환경으로 나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Pz7iLnRyFU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1주일에 2회의 에피소드를 제공합니다. 김동철박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 (김동철박사 TV) https://www.you.. 2023. 6. 29.
(수면공포 3)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1/3 수면(악몽)공포는 양육자가 없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심,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잦은 악몽으로 잠에서 자주 깨거나 다시 쉽게 잠들지 못하여 충분한 수면시간을 취하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유·아동이 잠을 자다가 깨는 이유와 원인은 다양하지만, 신체 에너지의 저하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대부분 수면 (악몽)공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은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블로그 내용이 길어져서 하루에 한가지씩 원인 3가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첫번째, 개인적 특성 아이의 수면을 어렵게 하는 변인에 대하여 학자들은 총 3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첫째, 나이와 기질의 영향과 같은 개인적 특성입니다. 기질은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내적 특성으로, 행동 및 정서적 영역에서 드러나 삶의 전반적인 적.. 2023. 6. 29.
(수면공포 2) 아이들이 악몽을 꾸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수면에 어려움을 겪을 시, 수면의 질 또한 떨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수면공포는 대부분 악몽의 형태를 빌려 나타나게 됩니다. 악몽은 무서운 꿈을 의미하며, 아동은 꿈의 내용을 정서적 경험으로 기억함에 따라 불안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악몽은 수면 후반부의 REM 수면 상태가 가장 길고 강렬한 시기에 잘 나타 나며, REM 수면에서 갑자기 깨어나게 합니다. 악몽 후에 잠에서 완전히 깬 아이는 잠시 감정의 변화만 보이며 쉽게 현실을 인지하지만, 다시 잠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때 모든 아동이 한 번쯤 악몽을 경험한다고 해서 야경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야경증과는 분명한 감별이 필요하며, 야경증은 수면 중에 강한 발성과 동작을 동반하여 벌떡 일어난 뒤, 공.. 2023. 6. 28.
(팟캐스트) 잘 먹지 않은 아이는 섭식장애가 있는 걸까요? 명쾌하게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요즘 날씨에 따라 입맛이 예민한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들이 너무 적게 먹으면, 부모님의 마음은 상하게 되지요 단순한 편식일수도 있고, 섭식장애 일수도 있으니, 오늘은 그 이야기를 펼쳐보겠습니다. 아이들의 섭식의 문제가 심하면 약물의 도움도 받아야 할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체크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팟캐스트는 1주일에 2회의 에피소드를 제공합니다. 팟캐스트 앱에서 김동철박사, 엄마맘 , 아기맘, 심리 등의 검색어로 찾으시면 됩니다 심리학자 김동철박사의 공식 엄마와 아이를 위한 심리, 발달, 정서, 두뇌, 교육을 위한 팟캐스트 입니다 https://apple.co/3OZHCr3 ‎김동철박사의 심리 정서 발달 이야기 - 엄마맘, 아기맘 on Apple Podcasts ..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