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박사컬럼48

주의력과 집중력, 쉽게 구분하는법 주의력과 집중력, 무엇이 다른가요? 2개가 비슷한 뜻을 담고 있지만, 육아에 적용 할때는, 두가지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어렵지만, 쉬운 방법을 설명합니다. ’주의력‘은 오감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처리하는 초기 단계에서 특정 정보만을 선택해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며, ’집중력‘은 주의력을 활용해 선택한 정보를 장기기억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능력입니다 (이재규 외, 2013 논문자료집). 한가지 더, 이것을 주의력과 집중력을 한단어로 표시하면, 주의집중력이라고 합니다. 이것의 뜻은, 일정 시간 동안 방해되는 자극을 통제하고, 과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유지하는 능력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 어떤 정보나 상황을 선택하여 집중할 때는 불필요한 것들에 대해 무시하는 인지 과정입니다. 계.. 2023. 5. 30.
글을 못 읽고, 못 쓰는 아이, 혹시 난독증일까? 기본적인 읽기나 쓰기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인 난독증은 그리스어 δυσ- dys‘(결함이 있는’)와 lexi‘s(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난독증은 신경학적인 원인으로, 기본적인 읽기나 쓰기(맞춤법을 고려한 철자 쓰기) 발달에서 두드러진 결함을 일으키는 특정 학습장애입니다. 따라서, 책이나 문제집과 같이 인쇄된 단어에 대한 발음(해독)과 철자에 맞게 쓰기(부호화)에 영향을 미쳐 학습의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Vellutino & Fletcher, 2007). 이러한 난독증은 읽기 이해나 쓰기 표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증상과 헷갈릴 수 있으나, 명백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인지의 어려움, 빈약한 철자법, 해독 능력의 문제가 분명하게 드러 나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읽기 이해에서 문.. 2023. 5. 28.
우리 아이의 언어발달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 아이가 또래보다 언어표현의 양이 현저히 적고, 말문이 트이지 않으면 양육자는 발달 지연이나 자폐에 대한 불안감을 지니게 됩니다. 아이의 언어발달 수준을 평가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은 양육자, 또는 또래와의 대화를 자세히 관찰하는 것입니다. 이는 자발적인 언어적 상호작용 상황이 실제적인 의사 소통 능력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그중 평균 발화 길이 (문장 속에 포함된 낱말이나 형태소의 평균 수량)를 살펴보는 것은 아이의 표현언어 발달의 지표가 될 뿐 아니라, 언어장애 아동을 진단·평가하는데 사용하는 가장 쉬운 평가 방법입니다. 평균 발화 길이는 표현하는 언어의 양이 아닌, 아이가 자기 생각을 얼마나 정확하고 바르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다양한 문법적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지도 살펴볼 .. 2023. 5. 27.
(영상) 자꾸 왜라고 묻는 아이,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걸까? 요즘 부모님들 하고 상담을 많이 하다 보면, 발달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고민을 상당히 많이 하고 계시는데, 제가 느낄 때 우리 아이들 문제없는 아이 많고, 그런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실 발달과정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는 아닙니다. 발달과정에서 성장속도가 빠른 아이도 있고, 느린 아이도 있습니다. 마냥 느리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님들의 못 가다려 주는 마음이 더 강한 상황이 많습니다. 사실, 그렇게 많은 걱정하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오늘 제가 이야기를 들은 부분들은 뭐냐면 아이들은 커 가는 과정에서 질문을 많이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특히 아동 발달 과정에서 만 3-세 정도면 아이들이 문장을 만들어내는 호기심도 상당히 많고 그리고 또 문장을 이어 나가는 과정을 배움으로 인해서 호.. 2023.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