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박사컬럼48

(수면공포 4)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2/3) 아이의 수면의 영향을 미치는 원인 2번째 시간입니다. 수면 방해 원인은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변인은 가족 특성입니다. 여기에는 양육 태도, 양육자의 심리상태, 가족 구조, 엄마의 사회활동 여부 등이 포함됩니다 (김지윤 외, 2018).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에 따라 유아동의 주중 생활 리듬이 늦춰지고 있고, 그와 동일 선상에서 엄마의 사회활동 여부는 아이의 수면시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아가 가장 큰 애착을 보이는 양육 대상이 엄마(주 양육자)이기에, 주 양육자의 귀가 시간이 늦을수록 아이의 수면시간도 늦어지는 나비효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 만, 모든 아이가 엄마의 사회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며, 아이의 수면을 위해 엄마가.. 2023. 7. 3.
(수면공포 3)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3가지 1/3 수면(악몽)공포는 양육자가 없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심,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잦은 악몽으로 잠에서 자주 깨거나 다시 쉽게 잠들지 못하여 충분한 수면시간을 취하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유·아동이 잠을 자다가 깨는 이유와 원인은 다양하지만, 신체 에너지의 저하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대부분 수면 (악몽)공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은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블로그 내용이 길어져서 하루에 한가지씩 원인 3가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첫번째, 개인적 특성 아이의 수면을 어렵게 하는 변인에 대하여 학자들은 총 3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첫째, 나이와 기질의 영향과 같은 개인적 특성입니다. 기질은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내적 특성으로, 행동 및 정서적 영역에서 드러나 삶의 전반적인 적.. 2023. 6. 29.
(수면공포 2) 아이들이 악몽을 꾸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수면에 어려움을 겪을 시, 수면의 질 또한 떨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수면공포는 대부분 악몽의 형태를 빌려 나타나게 됩니다. 악몽은 무서운 꿈을 의미하며, 아동은 꿈의 내용을 정서적 경험으로 기억함에 따라 불안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악몽은 수면 후반부의 REM 수면 상태가 가장 길고 강렬한 시기에 잘 나타 나며, REM 수면에서 갑자기 깨어나게 합니다. 악몽 후에 잠에서 완전히 깬 아이는 잠시 감정의 변화만 보이며 쉽게 현실을 인지하지만, 다시 잠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때 모든 아동이 한 번쯤 악몽을 경험한다고 해서 야경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야경증과는 분명한 감별이 필요하며, 야경증은 수면 중에 강한 발성과 동작을 동반하여 벌떡 일어난 뒤, 공.. 2023. 6. 28.
(수면공포 1 ) 유아기 수면의 중요성 유아기는 잘 먹고, 자고, 싸고, 깨어있을때는 함박 웃음을 지어주면 최고의 귀염둥이가 되지요. 그리고, 최고의 중요한 것은 먹고 자는 것인데, 오늘은 수면애 대하여 이야기 하겠습니다. 수면의 질과 양이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나머지 생활에 문제가 없는 기초를 이루는 근간이 됩니다.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에너지와 건강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생리 과정입니다. 미국 수면 재단은 아동의 나이에 따라 권장 수면시간을 권고하였는데, 그 기준은 신생아 14~17시간, 영아 (4~11개월) 12~15시 간, 영아 (1~2세) 11~14시간, 유아(3~5세) 10~13시간 입니다. 세계적인 기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유·아동은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같은 아시아 지역과 비교했을 때도 훨씬 짧은 수준입니다 (Ah.. 202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