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철솔루션동화50

우리아이 식습관을 위하여 - Eating habit 식습관 식습관은 식생활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습관 및 개인이 갖는 태도입니다. 여기에는 음식의 선호, 음식을 대하는 태도, 음식과 관계되는 위생 습관, 식사 예절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식습관은 의식적으 로 드러나는 것이 아닌, 식사 과정에서 습득한 식생활 행동 체계에 의해 자동으로 반복되며, 아이의 영양 섭취 수준과 건강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변덕스러운 유아기의 식습관 유아기는 자아의식이 급격하게 발달하는 시기로, 음식에 대한 선호도 또한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때는 일시적인 특성에 따라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자주 바뀌곤 하는데, 조경자, 이현숙(2004 논문)의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상황에 따라 음식물에 대한 맛과 식감을 느끼는 신체적 반응이 달라지거나 증진되고, 자신이 느낀.. 2023. 5. 15.
우리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우리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양육자의 역할 알아보기 양육자의 영양에 대한 지식이나 자녀 교육관, 모델링 역할은 유아의 식습관 및 선호 식품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하고 직접적인 요인입니다. 만약, 양육자가 지나치게 먹는 것에만 관심을 두면, 유아는 균형 잡힌 음식물 섭취를 하지 못하게 되며, 지나친 음식 강요는 오히려 음식물을 적게 먹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많이 먹는 것이 좋다는 풍토로 인해 식사량의 조절에 관심을 두지 않으면 비만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육자는 일관성 있는 식습관 지도로 유아가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양육자로부터 교육받지 못한 유아는 독립성과 자발성이 계발되지 않아 스스로 자신의 생활과 감정을 처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일방적인 .. 2023. 5. 15.
언어사용 습관 형성의 핵심, 말하기 말하기는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 수단입니다. 특히, 아이들은 자기중심적인 사고 발달로 인해, 타인의 말을 듣는 행위보다는 말하는 행위에 더욱 즐거움을 느낍니다. 따라서, 말하기를 통한 언어사용 습관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말하기는 습관 형성 행위의 핵심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말하기는 두 가지 지적 활동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첫째, 계획하기, 둘째, 계획한 내용을 음성 언어로 표현하기 입니다(이차숙. 노명환, 1994). 계획하기는 아이디어의 생성이며, 표현하기는 이 아이디어를 행하기 위해 음절, 단어, 문장, 구절 등의 발화적인 표출입니다. 유아는 기존에 인지하고 있는 내용과 수준을 기반 으로 표현하기를 시행하며, 이때, 실수가 있더라도 스스로 터득하며 언어 기술 수준을 향상합니다. 따라서 .. 2023. 5. 12.
우리 아이 - 언어사용 습관 언어사용 습관 Language usage habits 언어사용 습관은 문자를 활용해 표현하는 모든 언어표현에서 나타나는 반복적인 단어, 어투 등을 의히합니다. 최근에는 미디어 매체의 발달로 유행어에 노출되는 나이가 낮아짐에 따라, 아이의 올바른 언어습관 형성에 대한 양육자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자기표현의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자기표현을 통해서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하고 싶어 합니다(Lowenfeld, 1975). 하지만, 유아기에는 자신의 감정이나 심상을 표현하기에 언어능력의 한계를 갖고 있어 모델링 학습으로 발달하게 되며, 부정적인 언어사용 습관이 고착될 시, 전반적인 언어습관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언어사용 습관의 발달 과정 4세가 되면, 아이들은 일상.. 2023. 5. 12.